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jsp
- 가상컴퓨팅
- dfs
- Algorithm
- BFS
- 공개키 암호화
- 알고리즘
- spring
- generic class
- 코딩테스트
- 코딩테스트준비
- 자바의정석
- python
- til
- JPA
- Queue
- javascript
- 코테
- 항해99
- 자료구조
- 크루스칼
- 개발자취업
- sql
- dbms
- Java
- js
- mybatis
- 99클럽
- DB
- 암호학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38)
PLOD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Xtxj/btsB2R7t6ad/E7W9uM9xd8uZN3Yn3mvX91/img.gif)
1. 최장 맨해튼 거리 맨해튼 거리는 x,y 평면의 두개의 점에서 거리를 최단 거리로 구하는 문제이다. 맨해튼 거리 문제의 의미는 결국 좌표평면 위헤서의 어떤 구현이라는 걸 보여주는 단어이기 때문에 맨해튼 거리로 거리를 측정하라는 표현에 우리는 문제를 풀면서 좌표평면의 개념을 떠올려야 한다 완전 탐색 주어지는 수는 4개이기 때문에 좌표는 두개 밖에 생성이 안된다. 실제로 가능한 경우의 수는 24가지 정도이다. a,b,c,d를 무작위로 배열 한뒤 중복되지 않도록 for ~ if ~ continue로 처리 하여 각 점의 x,y 값을 정하고, distance 값을 구하기 위해 abs 함수를 이용한다. 나온 dist 값들 중 최대값을 구하기 위해 max 함수를 사용한다. S = list(map(int, inpu..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SoDtT/btsgcp4e2az/E8A8Om3ptQLGxxg0qPa4V1/img.png)
자료구조란? - 일련의 동일한 타입의 데이터를 정돈하여 저장한 구성체를 의미 -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많은 데이터를 메모리 상에서 관리하는 여러가지 구현방법들 - 효율적인 자료구조가 성능 좋은 알고리즘의 기반이 됨 - 자료의 효율적인 관리는 프로그램의 수행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 - 데이터 정돈 목적은 프로그램에서 저장하는 데이터에 대해 탐색 , 삽입 , 삭제 등의 연산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이다. 알고리즘이란? -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명확하게 기술한 것 - 알고리즘의 각 단계는 정확히 한가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명확성) - 알고리즘의 모든 유효한 입력에 대해 올바른 해를 출력해야 한다.(정확성) - 유효한 입력이 주어지면 반드시 유한한 시간 내에 종료되어야 한다.(정지성)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hu0/btsb5lkZqWG/kb5qa6j96r3ROPL4AynsK0/img.png)
Javascript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HTML 상에서 쓸 수 있는 언어이다. 모든 브라우저는 기본적으로 Javascript를 알아듣게 설계되어 있고, 모든 웹서버는 HTML+CSS+Javascript를 응답 데이터로 주게 되어 있다. JS 변수, 상수 선언법JS에서는 변수를 let,var로 정의 할 수 있고 상수를 const로 정의 할 수 있다. 자바 스크립트에는 int,String 같은 변수 자료형을 선언해 줄 필요는 없다. 변수를 선언할 떄 var과 let을 사용할 수 있는데 var은 이전 JS 버전에서 사용하는 변수 선언 방법이다. var 변수명;let 변수명;상수를 선언 할 때는 const를 사용한다.const 상수명;console.log()에 여러 값을 한 번에 넣어 출력할 수 도 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dqly/btsbTVgD3Nc/6PRqwgLJ8bhkobXxTdVhQk/img.png)
Spring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생각보다 JS를 쓸 일이 많아 공부해야 될 필요성을 느꼈다.자바스크립트를 현재 Spring/Spring boot에서 다루는 이유는 Spring Legacy로 JSP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자바스크립트가 쓰이기 때문이다. (이제부터 JavaScript를 JS로 줄여서 적을 예정이다...) 현재 웹사이트는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 받는 Application 처럼 동작한다.자바 스크립트는 웹 요소를 가지고 와서 필요에 따라 스타일을 변경하거나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동적웹을 만드는데 필수적이다. 특히 .jsp 파일에서 UI 부분에 많이 활용된다. 웹을 중심으로 하는 서비스가 늘어 나면서 브라우저에서 처리해야 될 일이 증가 하였다. 이에 라이브러리와 React,A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Xbhm/btsatWuRb6c/a8DHaDhyPqKK4eYTPvpKGK/img.png)
웹 계층에서 가장 먼저 설계해야 되는 것은 주소 , 즉 URL(URI)이다.JSP는 tomcat 서버를 켰을 때 http://localhost:8080/...을 입력하게 되면 나오는 화면이다. 아래는 게시판 프로젝트에서 Controller를 설계 할 때 설정했던 예시이다. Task URL Method Parameter From URL 이동 전체 목록 /board/list GET 등록 처리 /board/register POST 모든 항목 입력화면 필요 이동 조회 /board/read GET bno=123 삭제 처리 /board/modify POST bno 입력화면 필요 이동 수정 처리 /board/remove POST 모든 항목 입력화면 필요 이동 Controller는 Service 객체와 같이 연동해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cEvs/btsatVJixeu/o7IvVnAzShnKkGWXW6nhDk/img.png)
비즈니스 계층(service 계층, controller 계층) 비즈니스 계층은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계층으로 프레젠테이션 계층과 영속 계층의 중간 다리 역할을 하게 된다. 영속 계층은 Database 기준으로 해서 설계를 나눠 구현하지만 비즈니스 계츠은 로직을 기준으로 해서 처리하게 된다. 비즈니스 계층은 Service ,ServiceImpl 클래스들을 설계하는 과정이다. Service 메서드 설계시 메서드 이름은 현실적인 로직의 이름을 붙이는 게 관례이다 . 명백하게 반환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select를 해야하는 메서드는 리턴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특정한 게시물을 가져오는 get() 메서드와 전체 리스트를 구하는 getList()의 경우 처음부터 리턴타입을 결정해서 진행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