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항해99
- 자바의정석
- dbms
- 암호학
- jsp
- 자료구조
- 코딩테스트
- dfs
- javascript
- 크루스칼
- 가상컴퓨팅
- python
- mybatis
- 공개키 암호화
- sql
- 알고리즘
- 99클럽
- 코테
- generic class
- Queue
- 코딩테스트준비
- til
- 개발자취업
- BFS
- JPA
- Algorithm
- DB
- js
- Java
- spring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38)
PLOD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rc5G/btrWU8gL3re/epvscokzRz4RQiuZYotZNk/img.png)
- Generic : 데이터의 타입을 일반화 한다. 자바는 객체를 담아 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컬렉션(Collection) 이라는 자료구조를 제공한다. 초기에는 어떤 객체를 담아야 할지 몰라서 모든 클래스를 담을 수 있는 Object 클래스를 사용하였다. Object 클래스는 모든 자료형의 클래스를 포함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Object 클래스는 코드를 실행 해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것이 제네릭 타입이다. 제네릭 타입은 하나의 코드를 다양한 타입의 객체에 재사용하는 객체지향기법이다. 1) Cup 클래스 : 제네릭 타입으로 선언 public class Cup {// 타입 매개변수 명시 private T beverage; public Cup(T beverage)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ltvm/btrWRQnaTmv/zEpqN7sX9c8kfLOxCGkUOk/img.png)
자바에서 일어날 수 있는 Exception은 에러와 예외가 있다. 일단 에러는 하드웨어의 오동작 또는 고장으로 인한 오류를 의미하고 에러가 발생되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또 정상 실행 상태를 돌아갈 수 없다. 예외는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된 또는 개발자의 잘못된 코딩으로 인한 오류를 의미한다. 예외가 발생되면 프로그램을 종료되고 예외 처리를 추가하면 실행 상태로 돌아 갈 수 있다. 개발자의 프로그래밍으로 인한 에외는 예외처리를 통해 IDE에서 원활하게 코드를 돌아가게 할 수 있다. try 문에서 예외가 일어날 것 같은 코드를 작성하고 catch 문에서 예외를 잡고 예외처리를 한다. finally문은 예외가 있든 없든 항상 실행되는 문장이다. public class ExceptionEx01 { public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42r/btrWPtYKGfV/7oMZDo88ERabMSbnYoLIvk/img.jpg)
- package(패키지) 패키지는 상호 관련있는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를 한곳에 묶어놓은 것을 의미한다. - API 자바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패키지)이다. 프로그램 개발에 자주 사용되는 클래스 및 인터페이스 모음을 말한다. 자바는 네트워킹, 보안, XML 생성, 데이터베이스 접근 등 사용 방법이나 규칙들을 제공한다. * 기본 API 클래스 1) java.lang package : 자바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클래스를 담고 있는 패키지 , 특별한 import 없이 사용할 수 있다. - java.lang.Class : 실행 중인 자바 프로그램 내부에 포함된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공한다. - java.lang.Math : 각종 수학 함수를 제공한다.(abs, pow, sqrt) * java.l..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nSSX/btrWdfajiZ7/syIcmfpq4CA6xlBe2iOk91/img.png)
interface는 클래스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추출하여 객체 사용 방법을 정의한 타입이다. 위의 그림에서 Car, Plane,Boat 클래스들은 배, 비행기, 보트로써 각각 육,해,공에서 각자 다른 운반 수단이지만 기계로서 공통된 특징이 있다(ex.엔진이 필요함, 연료가 필요함, 금속으로 만들어짐) 그러한 공통적인 특징을 Vehicle로 묶어 관리하면 배 , 비행기, 보트 말고도 예를 들어 우주선 객체를 만들때 쉽게 객체를 만들고 관리 할 수 있다. interface는 동일한 목적 하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강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interface는 자바의 다형성을 극대화하고 개발코드 수정을 줄이고 프로그램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 interface는 객체와 필드 메서드를 만드는 방식..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fJthj/btrWc21nBaC/Ua7KkIl1K3oa3jdj9CeLC0/img.png)
업캐스팅(upcasting)은 자동 타입 변환(묵시적 타입변환)이라고도 하며 자식 클래스(Dog)의 타입을 부모클래스(Animal)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운캐스팅(downcasting)은 명시적 타입 변환 업캐스팅 괸 것을 다시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자손타입 -> 조상타입(Up-casting) : 형변환 생략 가능 자손타입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3eD1L/btrV68gNqHH/u44F0BWqHVegTYtFVk15I1/img.png)
* 클래스(class) 클래스는 하나의 클래스로부터 여러 개의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의 판이자,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의 집합. 자바에서는 반드시 new 연산자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한다. 보통 클래스는 변수와 메서드로 이루어져 있다. // Student 클래스 생성 public class Student{ public String studentName;//학생이름 public int studentNum; //학번 } 위의 클래스를 보면 학생이름 과 학번 변수를 생성해 주었다, 클래스 내에서 생성되는 변수들을 통틀어 필드(인스턴스 필드) 라고 한다. 클래스를 만드는 이유?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을 위해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은 자바 프로그래밍의 핵심이다.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의 특징 - 추상화 ..